이화선 - 우리술문화원장, 문학박사(Ph.D) 연구분야 - 과학기술과 문학 (Liter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과 인류학 (Anthrop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초학제
현재 수행 중인 과제 - 책임연구1(한국연구재단), "고대 해상루트 속 가양의 서진 항로 : 동아시아의 야생 벼 분포와 한반 출토 탄화미의 실증 분석 The comparison study of the carbonized rice between ancient Korea and India" - 책임연구2(한국연구재단), "야생 벼의 유전 특성과 아시아의 적미(赤米) 문화 분석을
통한 아시아의 도작 기원과 전파경로 Genetic characteristics of weedy rice
and Asian red rice culture" - 공동연구1(한미국제협력) : "선사시대 증류기술 : 고대 한반도 지역과 메조-아메리카의 고대 문명 속 증류기와 증류기술 비교분석 Pre-historic distillation : The distillatory apparatus of ancient Korea region and Meso-America, Capacha, Moche and Inka found in pre-historic relics"
주요 논문 - 고대 해상루트를 통한 동양의 술 문화와 술의 문명성,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 동아시아 술 문화 교류사,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 가야문화권역 인디카(Indica)형 야생 벼 분포 양상과 고고유적 속 벼 식물유체 분석을 통한 삼국유사 속 '허황옥 설화' 재조명, 2021, 문화와융합 43(11). - 조선시대 고농서(古農書)에 나타난 조초법(造醋法)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가치, 2019, 온지논총58. -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술의 양태-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전·후, 1960년대까지 중요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2018, 문화와융합40(4). - 일제강점기 주세령의 실체와 문화적 함의, 2017, 한민족문화연구57. - 동아시아 증류주의 발생과 문화교류-한국 호남의 꽃주와 일본 오키나와의 아와모리를 중심으로, 2016, 열상고전연구53. - 동파(東坡) 소식(蘇軾)의 시에 나타난 양주(釀酒)기술의 문화적함의-<밀주가(蜜酒歌)>의 '봉밀주(蜂蜜酒)'와 <동파주경(東坡酒經)>의 '동파주(東坡酒)'를 중심으로, 2016, 동양문화연구25. - 고대 동아시아 해시계의 기원과 문화 교류-조선 세종의 앙부일구(仰釜日晷)와 원(元) 세조의 앙의(仰儀)를 중심으로, 2016, 문화와융합. - 동아시아 발효주의 발생과 문화교류-고대 한민족 디아스포라를 중심으로, 2017 - 북한 소설과 시에 나타난 술의 양태, 2019 - 본초강목에 나타난 포도주와 동아시아의 술 문화, 2020 外 다수. 저서 『한국술 브랜딩 - 글로벌시대 한국술 브랜드 개발을 위한 두 전문가의 대화 』(공저,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동아시아 술 문화사』(도서출판 향음, 2018) 『한국의 술, 100년의 과제와 전망』(공저, 도서출판 향음, 2017) 학술학동 - 대한민국 주세법 및 조선총독부 제령 제2호(주세령) 주해 - 2018 서울국제술컨퍼런스 조직위원장 - 한국술학회 준비위원장 - 한민족문화학회 기획이사 - 2020 한국문화융합학회 학술상 수상 상표권 -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술 3종 - 무궁화, 까치와 호랑이 외 23종 기술이전 및 기타 활동 - 충남 홍성군 지역특산주 흑미술, 현미술, 백미술과 소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