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cademy Activity > Books & Papers

Books & Papers

제목 蘇軾의 시에 나타난 釀酒 기술의 문화적 함의— <蜜酒歌>의 蜂蜜酒와 <東坡酒經>의 東坡酒를 중심으로 등록일 -0001.11.30 00:00
글쓴이 KSI 조회 1797

 

인간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현상은 도덕경에 나오는 “스스로 그러하다.”라는 말 외에는 뭐라고 설명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원래부터 있었던 만물의 현상과 그에 따른 물질 속에는 우주의 순리와 자연계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치가 담겨있다. 이러한 이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 연구 대상으로 술에 주목했다. 이는 술은 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서 인류 문화사를 풍부하게 했던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중국 송(宋)나라 소식(蘇軾, 1037~1101)의 시 <밀주가(蜜酒歌)>를 통해 술의 기원을 추적하고, 동아시아 술과 술 문화가 중국에서 기원하여 전래되었다고 하는 기존 학설을 검토했다. 또한 <동파주경(東坡酒經)>의 누룩 사용법이 동아시아 양조기술과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선시대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임원경제지』 「정조지(鼎俎誌)」 <온배지류(醞醅之類)> 조의 동파주와 비교했다. 특히, <동파주경>이 오늘날 주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경에 나오는 동파주를 실제 복원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눈에 보이는 현상 너머에 있는 자연의 실상에 의문을 두고 이를 밝히고자 했던 서양의 사고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사고했던 동양의 사고를 비교하였다. 다시 말해 자연계는 보편성(Universality)과 다양성(Diversity)이라는 두 개의 축이 작용하고 있음을 동양의 술과 술 문화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오늘날 여러 현장에서 요청되고 있는 전통문화자원의 과학화와 기술화는 다양성과 보편성의 축이 서로 균형을 이룸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이는 서양 과학에서 말하는 보편성이 그 동안 불변의 진리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던 축이라면, 다양성과 가변성은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고 새로운 효용 창출과 새로운 가치의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축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문 다운로드 받기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4719


It is assumed that alcohol has existed long before human being began settlement. Honey or the ripe fruit juice can contact with the fungus in the air and natural fermentation can occur even if the human hand does not reach it. In this study, the origin of the fermented beverage is traced through the brewing technology in the Song Dynasty shown in <Song of mead> by the work of Su Tungpo(1037~1101) of China. And, the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existing theory of 'Chinese transmission theory' of alcohol and alcohol cultural history of East Asia.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fermentation technology in <Tungpo Jiujing> on the brewing technology and culture, the study compared it with Tungpojiu of <Onbaejiryu>, 「Jeongjoji」 in 『Imwongyeongjeji』 by Seo Yu-gu (1764~1845) in Joseon. In particular, the study restored actual Tungpojiu in Tungpo Jiujing and checked it actually in order to figure out its meanings of the present day.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western thinking that focused on clarifying it with the reality of nature beyond the visible phenomenon, and the oriental thought that centered on human be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at the natural world tried to reveal that the two axes of universality and diversity are working through the oriental wine and alcohol cultur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frame of universality and diversity as a philosophical foundation to be applied to the scientification and technologic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next generation power today. If universality is the frame that suggests a method to approach to eternal truth, diversity and variability are the frame that can suggest a new efficiency creation and paradigm by prudent use of resources.

 

 

키워드close 밀주, 꿀술, 동파주경, 동파주, 정조지(鼎俎誌), 보편성, 다양성

Key words: Su Shi, Mead, <Tungpo Jiujing>, Tungpojiu, Song of mead, Universality, Diversity.
파일첨부 :
글쓴이    비밀번호   
보이는 순서대로 문자를 모두 입력해 주세요